응축된 감정, 흐르는 시간 (2025~2026)

감정은 흐르며 겹치고, 순간적으로 응축되었다가 다시 흩어지기를 반복한다. 나의 작업은 이러한 감정의 움직임과 시간성을 화면 안에 담아내는 과정에서 출발한다. 나의 내면에는 꿈을 꾸는 소녀와 상처받은 소녀가 아직 있었다. 어린 시절의 기억들은 따뜻함과 아픔이 뒤섞인 채 남아 있고, 그 시절에 깊이 빠져들었던 환상의 세계는 도피이자 버팀목으로 존재했다. 한 작품 안에는 내가 마주한 감정과 세계의 단면들이 담겨 있지만, 흐름 속에서는 그러한 파편들이 서로 반향하며 감정의 리듬과 순환을 만들어낸다. 그 흐름은 모든 서사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감정의 결과 파편적 순간들로 응축되어 표현된다. 오히려 여백과 파편, 반복과 변주 속에서 관객 각자의 시간과 감정이 자연스럽게 교차하게 되기를 바란다.
나는 밝음과 어둠, 고요함과 동요, 환상과 현실이 얽힌 감정의 복합성을 색과 형상의 리듬, 섬세한 여백으로 풀어내고자 한다. 지금의 작업에는 그때 미처 알지 못했던 감정들이 어른의 시선을 통해 다시 떠오르며, 형상과 색채로 응축되어 나타난다. 나는 주로 인물의 얼굴과 눈빛, 어깨 너머의 찰나적 장면을 통해 감정의 결을 화면에 담는다. 이 형상들은 관객 자신의 기억과 감정을 비추는 부유하는 거울 같은 존재이며, 반복되는 색과 형태, 흐릿한 경계와 응축된 감정의 파장은 작업 전체에 시간의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색채는 나의 작업에서 감정의 흐름과 깊이를 시각화하는 중요한 언어다. 색의 변화는 감정이 시간 속에서 스며들고 변주되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며, 화면 위에서 시간적 리듬을 구성한다. 나는 화면 안에 내가 느낀 감정과 세계의 단면들을 응축해 담는다. 앞으로의 작업에서는 응축된 감정과 그들이 만들어내는 시간적 리듬 사이의 관계를 더 깊이 탐구할 것이다. 반복과 파편, 여백과 환상이 감정의 층위를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흐름을 구축하며, 관객이 각자의 감정적 여정을 발견하거나 스스로 감정의 파장을 마주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작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나는 이 여정 속에서 지금의 소녀와 함께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상처와 아픔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그것을 끌어안은 채 살아가고 있으며, 나의 작업은 그러한 삶의 흐름과 희망의 결을 담고자 한다. 나는 감정을 해소하거나 설명하기보다, 내게 스며든 감정들을 화면 위에 충실하게 담아내는 과정을 앞으로도 이어가고 싶다. 감정은 언제나 다시 흐르고 되돌아온다. 색과 시간의 리듬 속에서 앞으로도 새로운 시각적 가능성과 감정적 깊이를 지속적으로 탐색해 나갈 것이다.
Condensed Emotions, Flowing Time (2025~2026)

Emotions flow, overlap, condense in moments, and then disperse again. My work begins with the process of capturing these movements and the temporality of emotion within the frame.
Within me, there still lives a girl who dreams and a girl who is wounded. The memories of childhood remain, mingled with warmth and pain. The imaginary worlds I once immersed myself in were both an escape and a form of support.
Each piece contains fragments of emotions I encountered and slices of the world I perceived. Through the overall flow, these fragments resonate with one another, creating rhythms and cycles of feeling.
Rather than directly revealing a narrative, this flow condenses emotional moments into fragments. I hope that within these spaces of repetition and variation, of pauses and pieces, each viewer’s own sense of time and emotion can naturally intersect.
I seek to express the complexity of emotion—where brightness and darkness, stillness and unrest, fantasy and reality intertwine—through rhythms of color and form, and through delicate negative space.
Emotions I didn’t fully understand at the time now rise again through the eyes of an adult, taking shape and color on the canvas.
I often convey condensed emotional textures through facial expressions, gazes, and fleeting moments captured just beyond the shoulder. These figures serve as floating mirrors, reflecting the viewer’s own memories and emotions. Repeated colors and forms, blurred boundaries, and the resonance of compressed emotions evoke a sense of time throughout the work.
Color is a primary language in my work that visualizes the flow and depth of emotion. Changes in color gently reveal how emotion seeps and transforms over time, composing a temporal rhythm on the canvas.
I distill the emotions I’ve felt and fragments of the world I’ve seen into each composition.
Going forward, I aim to further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ensed emotional moments and the temporal rhythms they create. I intend to expand my practice into a space where repetition and fragments, gaps and fantasy, naturally reveal the layers of emotion—inviting viewers to discover their own emotional journeys and encounter the waves of their inner world.
Together with the girl who lives within me, I continue this journey. Pain and wounds still exist, but I live while embracing them. My work seeks to reflect this flow of life and the texture of hope.
Rather than resolving or explaining emotion, I wish to faithfully translate the emotions that permeate me onto the canvas. Emotion always flows and returns. Within the rhythm of color and time, I will continue to explore new visual possibilities and emotional depth.

현실과 환상, 감정의 결 (2025)

꾹꾹 눌러 담은 감정들이 쌓이고 쌓여 결국 형상이 되어버렸다. 감정을 감추려 애쓰고 외면으로 덮으려 해도 그것들은 언제나 새어나온다. 나의 그림 속 소녀들은 겉으로는 예쁘고 아름다워 보일 수도 있지만 그 표정엔 명확하게 정의할 수 없는 감정들이 흐른다. 고요하지만 날카롭고, 슬프지만 따뜻한 그 이질적인 감정들의 충돌이 바로 나의 작업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나는 작업 속에서뿐 아니라 일상 속에서도 감정과 기억, 질문들을 끊임없이 마주한다. 삶의 순간들이 자연스럽게 작업으로 이어지고, 작업은 다시 내 삶을 비춘다. 감정이 있기 때문에 내가 존재하는 것인지, 내가 존재하기 때문에 감정이 생긴 것인지. 무엇이 지금의 나로 만든 것인지. 그림은 그런 질문들을 담는 공간이자 감정이 스며들고 드러나는 하나의 매개가 된다. 이러한 감정의 흐름은 어린 시절 만화와 애니메이션에 빠졌던 경험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다.
내 작업은 익명의 소녀들을 통해 ‘현실과 환상’, ‘감정과 이성’의 경계에서 흔들리는 감정의 결들을 탐색한다. 이 소녀들은 단순한 캐릭터가 아닌, 억눌림과 균열 속에서도 아름다움과 가능성을 품은 상징으로 존재한다. 그들은 현실을 회피하는 존재가 아니라 오히려 현실의 모순과 불균형을 더 선명하게 비추는 거울이 된다. 친숙하면서도 낯설고, 슬프면서도 아름다운 감정의 결들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는 결국 내면 깊은 곳의 어떤 진실과 마주하게 된다.
나는 이 익명의 소녀들을 통해 개인의 감정뿐 아니라 사회 속에서 반복되는 상처, 침묵, 외면당한 감정들을 함께 담아낸다. 말로 다 담을 수 없는 감정의 모순과 복잡함은 캔버스 위에 서정적으로 스며들고, 때로는 환상의 장면을 통해 오히려 현실의 민낯을 드러낸다. 그렇게 나의 그림은 고통과 회복, 소외와 연결, 현실과 환상이 교차하는 하나의 감정적 공간이 된다.
이제 나의 작업은 감정의 형상화와 공감의 가능성 사이에서 새로운 질문을 던지기 시작한다. 단지 나의 이야기를 전하는 것을 넘어, 관람자가 각자의 기억과 감정을 비추고 해석할 수 있는 여백 있는 이미지를 통해 공감의 예술로 확장되기를 바란다. 앞으로도 나는 현실과 환상이 교차하는 감정의 층위를 다양한 시선으로 풀어내고자 한다.
Reality and Fantasy, Textures of Emotion (2025)

Emotions that had been long suppressed and pressed down eventually took form. Even when I tried to hide them or cover them with outward calm, they always found a way to surface. The girls in my paintings may appear beautiful on the outside, but their expressions carry emotions that cannot be easily defined. The point where quietness meets sharpness, and sadness meets warmth, is where my work begins.
I constantly confront emotions, memories, and questions, not only in the process of creation but also in daily life. The moments of life naturally flow into my work, and in turn, my work reflects my life. I often wonder whether emotions exist because I do, or whether I exist because emotions do. What has shaped who I am today? Painting becomes a space that holds these questions, a medium where emotions soak in and reveal themselves.
This flow of emotions is naturally connected to my childhood experience of being immersed in manga and animation. Thanks to my parents’ workplace, a comic book and video rental store, I grew up in an environment where the world of imagination felt like an ordinary part of life. Stories that helped me momentarily forget reality and surreal scenes that opened new senses for me became the foundation of my current work.
Through anonymous girls, my work explores delicate emotional textures that waver between reality and fantasy, emotion and reason. These girls are not just characters; they exist as symbols of beauty and possibility within suppression and fracture. They are not an escape from reality but rather reflect its contradictions and imbalances more clearly. As we follow these familiar yet strange, sad yet beautiful emotions, we ultimately come face to face with certain truths that lie deep within us.
Through these anonymous girls, I try to express not only personal feelings but also recurring wounds, silences, and neglected emotions within society. The contradictions and complexities of emotion that cannot be fully expressed in words are gently absorbed into the canvas. Sometimes, it is through scenes of fantasy that the true face of reality is more vividly revealed. In this way, my paintings become a space where pain and healing, isolation and connection, reality and fantasy intersect.
My work is now beginning to ask new questions between the embodiment of emotion and the possibility of empathy. I hope to move beyond telling just my story, creating open-ended images that allow each viewer to project their own memories and emotions. From here, I will continue to explore the layered textures of emotions where reality and fantasy intersect, through diverse perspectives.
내면의 파편과 감정의 빛 (2024)

어릴 적부터 자연스럽게 접한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단순한 재미를 넘어, 세상을 바라보는 창이자 상상의 원천이 되었다. 비현실적이지만 어딘가 익숙한 환상의 장면들은 내 감수성과 상상력을 자극하며, 나를 투영하고 감정을 탐구하는 매개체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경험은 내 작업의 출발점이 되었고, 지금은 주로 알 수 없는 듯한 소녀들을 그리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내가 그리는 소녀들은 특정한 인물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들은 친숙하지만 익명의 존재로 남아, 보는 이가 자신의 기억과 감정을 투영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여지를 열어두고 있다. 동시에, 이들은 내 내면의 삶과 감정을 비추는 거울 같은 존재다. 소녀들의 표정, 눈빛, 그리고 분위기는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복잡한 감정들을 담아내며, 내가 던지는 질문들을 대신 표현한다.
내 작품은 미묘한 차이와 변화를 담아낸다. 현실과 환상, 익숙함과 낯섦, 밝음과 어둠이 교차하며 서로를 드러내는 순간들을 통해 인간 내면과 삶의 모순을 탐구하고자 한다. 변화는 내 작업의 핵심적인 모티브다. 삶 속에서 끊임없이 반복되는 변화는 새로움과 상실, 시작과 끝을 동시에 품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발견되는 감정과 흔들림은 내 그림의 중심이 된다.
작업은 개인적인 경험과 기억에서 출발하지만, 그것은 단순히 나 자신의 이야기에 머물지 않는다. 캔버스 위에 펼쳐진 색채와 디지털 작업의 자유로움을 결합하여 조화와 변화를 만들어내며, 이는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삶 속의 감정과 상처, 그리고 그 안에서 발견되는 희망과 가능성을 담고 있다.
내가 그리는 소녀들은 단절된 것처럼 보이는 공허하고 적막한 세계 속에서도 자신만의 빛을 지닌 존재다. 이들은 단순히 아름다움을 넘어, 각자의 경험과 기억을 떠올리게 하며 스스로의 이야기를 완성할 수 있도록 돕는 매개체가 되기를 바란다.
Fragments of the Inner Self and the Light of Emotions (2024)

Since childhood, I’ve been naturally drawn to comics and animation, which have become more than just a source of simple enjoyment—they serve as a window to view the world and a wellspring of imagination. Unreal yet somehow familiar scenes from these fantastical worlds stimulated my sensitivity and imagination, serving as a medium through which I could project myself and explore emotions. These experiences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my work, and now I continue creating pieces centered around enigmatic, undefined girls.
The girls I depict do not represent specific individuals. They remain familiar yet anonymous beings, intentionally leaving space for viewers to project their own memories and emotions. At the same time, these girls reflect the complex emotions I’ve experienced in my inner life. Through their expressions, gazes, and atmospheres, they convey intricate emotions that words fail to capture, serving as a proxy for the questions I ask.
My work embodies subtle differences and changes. Through moments where reality and fantasy,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brightness and darkness intersect and illuminate one another, I seek to explore the contradictions of human nature and life. Change serves as a central motif in my art. The perpetual cycles of change in life hold both novelty and loss, beginnings and endings. The emotions and uncertainties revealed in these processes lie at the core of my paintings.
Although my work originates from personal experiences and memories, it transcends being a mere account of myself. By combining the vibrancy of color on canvas with the creative freedom of digital media, I create harmony and transformation, capturing the emotions, wounds, hope, and possibilities inherent in life.
The girls I paint are beings that possess their own light, even within a seemingly empty and desolate world disconnected from reality. They transcend mere beauty, acting as a medium for viewers to recall their own experiences and memories, empowering them to complete their personal narratives.
Back to Top